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있는 자동차 히터와 에어컨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가정용 히터와 다르게 차량의 히터는 추가적인 연료소모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운행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뜨거워진 엔진의 열기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팬만 달아 엔진룸의 열기를 차량 내부로 보내는 원리이기 때문에, 연비와는 관련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도로교통공단이 중형 가솔린차로 휘발유 가격을 리터 당 2천원으로 가정해 산출한 결과,
자동차의 전기장치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 중 히터 작동에 따른 연료 소모량이 시간당 50원이라고 밝혔습니다.
테슬라 등의 전기차는 내연기관의 열기가 없기 때문에 따로 히팅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히팅시스템은 전기소모가 매우 많은 편에 속합니다.
전기차의 경우에는 히터 사용이 많은 겨울철에 많게는 30%의 연료소모가 있다고 합니다.
배터리 완충을 기준으로 100km 주행 가능할 때 히터를 키고 운행하면 70km 주행 후 재충전을 해주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두 번째는 에어컨입니다.
히터가 연비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과 다르게, 에어컨은 연료 소비를 꽤 많이 합니다.
냉매를 순환시켜 온도를 낮추는 '컴프레셔'가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차량 엔진을 통해 에어컨 컴프레셔가 작동하고, 냉매가 돌며 응축기를 거친 후에 차가워진 공기가 차량 내부에 유입됩니다.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10%의 연비가 하락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에어컨은 여름에 시원한 공기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습도도 조절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에어컨은 '에어 컨디셔너'의 약자로, 온도를 낮추는 것은 여러 기능 중 하나일 뿐입니다.
에어컨을 작동시켜 겨울철의 결로현상도 예방이 가능하고,
히터로 인해 너무 덥고 건조한 느낌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에서 이 '컴프레셔'가 가장 연료를 많이 소비합니다. 압력에 의한 물질의 상태변화를 위해 매우 높은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연료 소비를 아끼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로 계속 틀어놓는 것이 아니라, 가장 낮은 온도로 잠깐잠깐 틀어주는 것이
연비 절감에 훨씬 효과적입니다.
'Life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아이스와 엔진브레이크 (0) | 2022.11.10 |
---|---|
주차뺑소니(물피도주)와 문콕사고 (0) | 2022.11.10 |
내부공기순환버튼과 터널 공기 점검 (0) | 2022.11.10 |
타이어 눈탱이 수법 2가지 (0) | 2022.11.10 |
차량 후방 스티커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