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할증 3

과태료와 범칙금 차이 알아보기

과태료와 범칙금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신분은 많지 않습니다. 교통법규위반 시, 과태료나 범칙금 중 납부가 가능합니다. 범칙금을 납부하면 3만원, 과태료를 납부하면 4만원이기 때문에, 싼 범칙금으로 납부하면 절대 안됩니다. 과태료는 카메라로 단속 시, 운전자가 누군지 특정이 안되기 때문에 벌점도 없고 차량명의자에게 부과됩니다. 반면 범칙금은 경찰관 적발 등으로 운전자가 확실할 때, 차량 운전자에게 벌점과 함께 부과됩니다. 경찰에게 적발됐을 때는, 과태료를 내고 싶어도 범칙금을 내야 합니다. 왜 조금 더 비싼 과태료를 내야 하는걸까요? 현행법 상 교통법규를 위반했을 시, 과태료는 단순히 납부하면 끝이지만 범칙금은 운전자에게 부과되고 위반기록이 남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위반기록의 횟수에 따라 내년 자동차보험금..

Life/Insurance 2022.11.16

교통사고 났을 때 보험료 할증을 막기위해 자차수리 VS 환입 선택하기

가벼운 교통사고가 났을 때 누구나 고민해봤을 내용입니다. 수리비가 몇 십만원 정도 나올 것 같은데 이걸 내 돈 주고 수리하고 말지, 아니면 이럴 때를 위해 보험가입을 한 것이니 마음 편하게 보험처리를 할 지 고민이 됩니다. 일단 첫 번째로 보험 가입할 때 물적할증 기준금액을 200만원으로 설정하세요. 대부분 이 옵션으로 선택하긴 하는데, 당장 내야하는 보험료를 아끼려고 할증금액을 50만원이나 100만원으로 설정하는 분이 계십니다. 할증금액을 낮게 설정하면 나중에는 대부분 후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교통사고 자체가 자의에 의한 것은 매우 적고, 수리비가 기본 몇 십만원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바로 수리하지 않는 것입니다. 100:0이 아니라 내 과실이 조금이라도 인정되는 경우, 센터랑 얘기를 잘 ..

Life/Insurance 2022.11.12

횡단보도 우회전 관련 법규 개정

횡단보도 우회전 관련 법규가 개정되면서 과태료와 보험료 폭탄이라는 키워드가 부상했습니다. 이 말은 사실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과태료에는 벌점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과태료는 운전자를 특정할 수 없는 단속카메라 적발 시 벌점을 부과하지 않고 차량 소유주에게 부과됩니다. 반면 범칙금은 경찰관 적발 등으로 운전자 신원이 확실한 경우 경우에 따라 벌점과 함 적용됩니다. 중요한 것은 범칙금은 과태료와 달리 교통 법규 위반 사실이 보험개발원으로 전달되어 자동차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태료 폭탄이 아닌, 현장 적발 시 범칙금 부과에 따른 보험료 할증이 맞습니다. 횡단보도 우회전 관련 법규 개정안에 이런저런 내용이 많지만, 하나만 기억하면 됩니다. 차량 우회전 시 진입 도로의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

Life 20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