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킹호일을 자세히 보면 앞면과 뒷면의 광택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은 반짝거리는 면이 앞면, 광택이 없는 면을 뒷면이라고 하는데 인터넷에서 잘못된 정보가 있어 제대로 알려 드립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호일을 제작할 때 앞면은 연마를 많이 해서 광택이 나게 하고, 뒷면은 연마가 덜 된 부분이라고 합니다.
연마가 많이 된 앞면은 이물질이 적다면서 앞, 뒷면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가짜뉴스를 봤습니다.
또 '쿠킹호일의 올바른 사용법'이라면서 앞뒤 구분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반질반질한 면에 음식이 닿도록 해야 쇠맛이 덜 난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앞면은 불에 타지 않도록 납(Pb) 처리가 된 부분이라면서, 광택이 없는 뒷면으로 음식을 감싸면 납도 체내에 흡수된다고 합니다.
물론 위 내용은 모두 사실이 아닙니다.
반짝거리는 앞면과 광택이 없는 뒷면은 연마 차이도, 쇠맛 차이도 나지 않습니다. 당연히 납 성분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광택이 있고 없고가 차이 나는 이유는 쿠킹호일의 제작 과정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쿠킹호일을 만들 때는 알루미늄에 압력을 가해 굉장히 얇은 상태로 만들어 가공을 합니다. 이렇게 얇아진 호일은 매우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한꺼번에 두 겹을 겹처 밀링합니다.
두 겹을 겹치는 과정에서 서로 맞닿은 부분은 덜 반짝 거리고, 맞닿지 않은 부분은 알루미늄 본연의 광택이 소실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알루미늄 쿠킹호일을 사용할 때, 반짝거리는 앞면을 사용하든, 광택이 없는 뒷면을 사용하든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번외로, 쿠킹호일을 쓰다보면 뜯을 때 원통이 통째로 튀어나온 적이 한번 쯤은 있을텐데, 제품마다 다르긴 하지만 제품 박스 양 옆을 보면 고정을 위해 손가락으로 구멍을 내는 부분이 있습니다.
손가락으로 눌러서 박스 양 옆을 눌러 넣어주면 호일 원통이 고정되어 더 쉽게 호일을 뜯을 수 있습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영수증으로 돈도 벌고 환경도 아끼는 방법 (0) | 2022.09.22 |
---|---|
소액결제 피싱사기 주의할 점 (0) | 2022.09.22 |
온라인 쇼핑몰 최저가 사기 예방법 (1) | 2022.09.20 |
평방미터(평수) 쉽게 계산하기 (1) | 2022.09.12 |
병원 정보 검색(건강보험심사평가원) (1) | 2022.09.11 |